2020년 현재 한국 임/상담 업계 취업 현실을 말씀드립니다
(저 포함하여 선/후배, 업계에서 만난 지인 피셜이며, 급여가 나와 있는 경우 채용 공고를 참조)
최상위권 일반 대학원, 교육/특수 대학원, 놀이/미술/음악 치료 등은 모르기 때문에 적지 않았습니다.
중하~상위권 심리학과 일반대학원 취업(급여&발전가능성)
상위-대기업 정규직/좋은 병원 슈바/6-7급 (임기제) 공무원(약 350이상), 가사조사관/병무청/양성평등 군무원/국정원 등(7급), 마사회
중상-대기업 무기계약직, 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/도박중독센터(정규직), 임기제 8급, 군대 병영생활전문상담관(무기계약, 약 280), 병원 임상심리사(중상~중하 다양)
중위-직접 고용이 아닌 EAP상담(기업, 경찰, 소방으로 감 230-250 정도), 8급 공무원(법무부, 경찰, 소방, 국립대 상담센터 등), 해바라기센터/스마일센터(정규직), 위센터(무기계약), 병원 임상심리사(중상~중하 다양)
중하-대학교 상담센터(중하-하, 상담심리 2급 기준 약 180~230선, 1급은 240-260), 건강가정지원센터, 9급 공무원(치매 예방 센터, 시도군 상담사 등), 정신건강복지센터, 자살예방센터, 아이존, 병원 임상심리사(중상~중하 다양)
하위-청소년상담복지센터
* 센터 차린, 혹은 상담이나 검사 프리 뛰는 지인들은 최상~하 까지 다양합니다.
* 기타 가끔 국가 사업으로 임/상담 뽑습니다(공무원은 아니고 사업이 지속될 때 까지 하는 것)
'심리학 > 심리학 일반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진화심리학의 기본 원칙 4가지 (0) | 2021.09.16 |
---|---|
정신 질환과 신체 질환의 차이? (0) | 2020.06.26 |
사이비 종교가 심리 검사를 하는 이유 (0) | 2020.06.23 |
정신병이 만들어진 과정(feat. DSM의 변화 과정) (0) | 2020.06.22 |
정신병 진단 받고 오히려 안도하는 이유? (0) | 2020.06.21 |
댓글